2. 28 (수) 정리 Linux - vi 에디터 / Net - DL, N Layer 구조

-Linux-

Line Editor : 한 줄만 나오는 일종의 워드프로세서
 -> 초기 리눅스에 사용

vi Editor : 문서가 한 눈에 다 들어오는 에디터.
모든 유닉스에 기본 탑재 되어있기에 사용.

• vi 실행
# vi 파일명
주의! 새 이름으로 저장하기 쓰지 말 것 -> 숙련도 필요

• vi 모드
  - 명령 모드 : 기본 모드, 입력 이외의 편집 작업을 담당
-> h,j,k,l 이 상하좌우 담당
  - 입력 모드 : 데이터의 입력 및 수정
  - 실행 모드 : 파일 저장, 종료
-> conf 작업이 주되기 때문에 잠깐이라도 미심쩍으면 저장하지 않고 나와야 함.





• 모드의 변경
  * 명령모드 -> 삽입모드
    - i : 커서 위치부터 입력 (윈도우)
    - a : 커서 다음 칸에 입력
    - o : 커서 아래 새로운 라인 삽입하고 입력
  * 명령모드 -> 실행모드
    - ;
  * 삽입, 실행모드 -> 명령모드
    - ESC






------------------------------------------------------------------
명령모드

• 이동
- h, j, k, l (왼쪽,아래,위,오른쪽)
- gg, G (문서 맨 처음이나 아래로)
- n G (n 라인으로 이동)
- ^f, ^b, ^d, ^u (화면단위 이동) + (^는 ctrl key)
• 삭제
- x (글자 삭제) <> delete  // 딜리트 키는 글이 없으면 라인을 땡기지만 이 명령은 글자만 삭제한다
- dd (라인 삭제)
- dw (단어삭제)
- D (커서뒷부분 삭제)
------------------------------------------------------------------------------------------------
검색과 환경 설정

• 검색
- /문자열 (특정 문자열 검색)
- n (검색상태에서 순방향으로 재 검색, /와 동일)
- N (역방향)
• 환경 설정
- :set [환경변수] [값]
- 환경변수
- nu (라인번호 표시)
- sm (반대 괄호 표시)

------------------------------------------------------------------
실행 모드

:wq (저장 후 종료 )
:q! (저장하지 않고 종료 )

이는 절대 쓰지 말것 ↓
:w [파일명] (저장 또는 지정한 파일명으로 내용저장)
- 새 이름으로 저장하는 방법은 Windows와 다름으로
주의한다.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가능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윈도우 환경에서 복사하여 리눅스 환경으로 붙여넣고 싶다면,
Putty의 붙여넣기 기능을 이용한다.

Putty에서는 마우스 드래그 자체가 복사하기 기능을 한다
우클릭하면 붙여넣기!

------------------------------------------------------------------------
실습


명령 모드


커서의 이동


삽입모드



명령모드



세팅 옵션



라인번호 표시


저장


저장 결과


------------------------------------------------------------------------
-네트워크-

Link Layer 구조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 이더넷(Ethernet) 프레임의 구조
  • Preamble(프리앰블) : 동기화에 사용되는 64비트 필드로서 0과 1로 구
성되고, 네트워크 장치가 패킷을 받아서 이더넷 프레임의 시작 부분을 결정
하고 동기화할 때 사용
  • DA(Destination Address): 목적지 시스템의 이더넷 주소
  • SA(Source Address):패킷을 전송하는 호스트의 이더넷 주소
  • Type : 이더넷 프레임 상단의 데이터의 종류
  • DATA : 상위 레이어의 프로토콜에 의해 사용되는 정보가 포함됨
  • FCS : 에러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필드로, 수신측이나 송신측 호스트 시스템
에 의해 프레임에 포함되는 내용을 계산한 값. 값이 다르면 해당 프레임은
무시됨.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계속)
- Type의 대표적인 값들 (0x600 이상의 값 만이 가능함)
• 0800 : IP
• 86DD : IPv6
• 8191 : NetBIOS
• 0600 : Xerox XNS IDP
• 0805 : X.25
• 0806 : ARP
• 0835 : RARP
• 6003 : DEC DECnet Phase Ⅳ
• 8137 : Novell Netware IPX
• 8847 : MPLS
• 8863 : PPPoE Discovery Stage
• 8864 : PPPoE PPP Session Stage



Network Layer 구조



• Version - IP Version 정보를 담고 있다. (IPv4는 4 v6는 6)
• Header Length - IP 프로토콜 헤더의 길이 정보를 담고 있다. (word 단위, 4바이트씩 증가)
• Type of Service - 우선 순위 정보를 담은 부분, IP에서 사용되지 않지만 라우터 간 통신에     이용되는 경우는 있다. (쓰레기 값 - 무시(패킷망에서 호환하지 않음))
• Total length - IP의 프로토콜 헤더에 계속되는 데이터도 포함한 IP 패킷의 전체 길이, 전체 데이터그램의 길이를 의미 (바이트 단위)
• Identification - IP패킷의 고유번호 (데이터그램의 식별번호)
• Flags : IP데이터그램이분할(Fragment)에 관한 정보를 나타냄
   - 첫 번째 비트 : 사용안함
   - 두 번째 비트 : Do not fragment (내 뒤에 나와 같은 고유번호의 패킷이 없다)
   - 세 번째 비트 : More fragment (내 뒤에 나와 같은 고유번호의 패킷이 있다)
• Fragment Offset : " 내가 ~번째 비트부터의 Offset " 이다 임을 알리는 정보 (바이트 단위)
• TTL : 일정 수치부터 통과 가능한 라우터 수를 지정해두고, 라우터를 경유할 때마다 값을 하나씩 줄여가며, 값이 0이된 데이터그램은 폐기해버린다. (무한 Loop 방지)
=> 같은 이름의 다른 의미 : 타이머를 이용해 최근 사용되기까지의 시간이 0인 메모리의      프로세스는 살리는 알고리즘
=> OS 체계에서 적절
= | 비슷 | LRU(Last Recently Used) 알고리즘 => 데이터베이스에서 적절
• Protocol Type :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위 프로토콜의 종류
   - 1 = ICMP
   - 6 = TCP
   - 17 = UDP
• Header Checksum : IP 프로토콜 헤더 자체의 내용이 바르게 교환되고 있는가를 점검
• Source 및 Destination IP Address : 발신지 및 수신지의 IP Address

숙. 패킷의 이해 120627.pdf 12p. 참고하여 패킷 해석해보기.

--------------------------------------------------------------------------------------------------
• ARP
   -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은 32bits IP와 48bits 이더넷 주소 간의 변환을 담당.
   - 이들 변화는 동적으로 이뤄짐.

   ex) ARP 구조
# arp (옵션) : ARP 캐시 목록을 조회하거나 목록을 추가 및 삭제
옵션
   -a : 캐시 전체 목록을 검색
   -s : 목록을 추가
   -d : 목록을 삭제

ARP 헤더


- H/W Type (하드웨어 타입) : 하드웨어 주소(Network 유형)
  • http://www.iana.org/assignments/arp-parameters/ 참조
  • Ethernet : 1
- Protocol Type
  • 어떠한 유형의 프로토콜(IPv4,IPv6,ATM등)을 사용하는가 정의
  • IPv4 : 0x0800
- H/W Length : H/W type에서 사용하는 주소의 길이
  • Ethernet : 6byte
- Protocol Length : Protocol Type에서 사용하는 주소의 길이
  • IPv4 : 4byte
- OP : ARP와 RARP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
  • 1 : ARP요구, 2 : ARP응답
  • 3 : RARP 요구, 4 : RARP 응답

=> 받는 MAC 주소가 Broadcast 주소인 경우 ARP 요청이다.

댓글

  1. 작성자가 댓글을 삭제했습니다.

    답글삭제
  2. 초등학생 급식 IT꿈나무입니다. 이 글 보고 공부 많이 하고 있습니다. 꾸준한 업로드 부탁드려요^~^

    답글삭제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전자서명 개념

Linux Server - FTP 실습 (2 / 2) : 사용자 제한 ( ftpuser / user_list )

3.27 (화) - Network (패킷 통신 - 4가지 지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