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2 (목) Linux 정리 - 기본 명령어 2

리눅스는 정상 부팅 되는데, Putty 접속이 안될 시 테스트 할 것.


Lan card 정보 확인할 때
1. 윈도우는 ipconfig / 유닉스,리눅스는 ifconfig
2. 윈도우에서 ping 명령어로 리눅스 os의 ip를 입력
3. 리눅스 os에서 setup 명령어 입력
4. 네트워크 세팅
5. 디바이스
6. 고정 ip / 넷마스크 /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만 수정가능
 * 집에서는 DHCP 사용 -> 자동설정
7. 저장
8. DNS configuration
9. DNS 주소 입력 후 저장 후 종료
10. (1)

 * service network [start | stop | restart] - 네트워크 시작 | 정지 | 재시작

테스팅 과정을 계획하는 습관 들이기

----------------------------------------------------------------------------

 * 리다이렉트 복습

  > : 표준 출력 지시자
   - 명령어 > 파일 : 명령 결과를 파일로 저장
   - 기본 출력(디폴트) 디바이스(파일)은 CRT(모니터).
  >> : 추가 표준 출력 지시자
   - 명령어 >> 파일 : 명령 결과를 파일에 추가
  = 오른쪽으로 데이터 이동

  < : 표준 입력 지시자
   - 명령어 < 파일 : 파일의 내용을 명령의 입력 값으로 사용
   - 기본 입력 디바이스는 키보드
  = 왼쪽으로 데이터 이동

----------------------------------------------------------------------------

 * cat
  - 표준 입출력 지시자
   # cat [옵션] [출력 대상 파일]

  * 옵션
  -n : 행단위 번호
  -b : 공백 라인을 제외하고 행 단위 번호
   // 파일의 입출력 제어
   # cat [<입력파일> 출력파일] : <입력파일> 생략 가능
     기본 입력 파일 : 키보드
     기본 출력 파일 : CRT
     입력파일의 경우 < 기호 생략 가능
     >> : 출력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내용 추가

   # cat <a.txt>b.txt : a.txt를 b.txt에 복사

[root@su1-localhost test]# echo aaaaa > a.txt
[root@su1-localhost test]# echo bbbbb > b.txt
[root@su1-localhost test]# cat < a.txt > b.txt
[root@su1-localhost test]# cat b.txt
aaaaa
[root@su1-localhost test]# echo aaa > a.txt
[root@su1-localhost test]# cat b.txt
aaaaa
[root@su1-localhost test]# cat a.txt
aaa
[root@su1-localhost test]# cat a.txt > b.txt
[root@su1-localhost test]# cat b.txt
aaa

----------------------------------------------------------------------------

 변수 : 어떠한 값이 저장되기 위한 공간
 * echo : 환경 변수나 입력내용을 출력 // 화면에 무언가를 출력해주는 함수

 # echo [환경변수|문자열]
 // in window -> 환경변수의 모음 : 레지스트리

 리다이렉트를 이용 시 파일 생성 가능
 ' : escape 기호, 문자 그대로를 출력하기 위해 사용

 ex>
  # echo $HOME
  # echo '$HOME' 의 결과는 다름

       ++) $ 라는 연산자는 이후에 나오는 문자열이 변수임을 의미한다.

  /dev/null 파일은 비어있는 파일 - echo를 이용하여 파일의 초기화 진행 가능
  # env - 모든 환경변수를 출력한다.
  SSH_CONNECTION - 접속 IP / app Port_NUM / 서버 IP / 서버 SSH Port_NUM
  # cat a.txt -> a.txt 는 출력대상파일(입력파일)
  결과 : a.txt의 내용 출력

[root@su1-localhost test]# echo $HOME
/root
[root@su1-localhost test]# echo '$HOME'
$HOME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inux Server - FTP 실습 (2 / 2) : 사용자 제한 ( ftpuser / user_list )

전자서명 개념

3.27 (화) - Network (패킷 통신 - 4가지 지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