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2 (목) Network 정리 - Datalink Layer

* 참고
App -> TCP 의 데이터 : RDT send
TCP -> IP 의 데이터 : UDT send
TCP -> APP의 데이터 : RDT_rev
IP -> TCP 의 데이터 : delivery


숙제. 데이터 전송 구조 외우기

----------------------------------------------------------------------------

이더넷 네트워크의 최대 size = 이론상 1500대 / 실제 약 750대까지 연결 가능
10 BASE 5 : 10mbps 를 500m. AUI로 연결
10 BASE 2 : T 케이블을 이용 (5M 간격)하여 연결. 미연결 부는 터미네이터를
     이용하여 막아야 네트워크가 죽지 않음.
 OR 허브를 사용

----------------------------------------------------------------------------
Topology는 데이터의 흐름을 의미, 케이블의 연결 구조와는 관련이 없다.
----------------------------------------------------------------------------

허브란? 지금은 스위칭 허브를 의미. / 일반 허브는 시중에 없다.
 Gbps 8 스위칭 허브가 10만원대로 하락한 지금 일반 허브는 사장됨.

┝------ ㅇ ------- ㅇ ------- ㅇ------- ┪
           ㅣ          ㅣ          ㅣ
           A            B           C

 MA
 일반 케이블 네트워크 구조

    ㅇ  ㅇ  ㅇ ㅇ
     l    l    l    l
     l    l    l    l
     a   b   c   d
 허브 케이블 네트워크 구조

----------------------------------------------------------------------------

 TimeBox : 가장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식.
           시간을 아끼기 위해 자원을 아낌없이 투자.

----------------------------------------------------------------------------

 Repeater : 데이터가 통과하면 전기적인 신호를 증폭하는 장비.
      잡음(Collision) 역시 증폭된다.
      최대 5개의 세그먼트(여기서는 네트워크를 의미)를 연결할 수 있다.
            테스팅 시 3개만 연결(시작점 끝점 중간 3개 세그먼트 중 1군데)

            통신 성공 시 정상 제품이라고 판단. (5 4 3 방식)
            실제 사용 시에는 선형 연결하지 않고,
            세 다리 건너 모두 연결하도록 설계
----------------------------------------------------------------------------

 Bridge : 네트워크(세그먼트)를 효율적으로 나누기 위해 나온 장비
          CPU와 Memory가 있음
         
          Bridge Table을 갖고 한 세그먼트 내부에서 전송하는 패킷은
          테이블에서 체크 후 외부 세그먼트로 전송되지 않고 파기된다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교환)
   + B Table에 Memory Overflow가 발생하면,
   패킷이 다른 세그먼트로 전송 될 수 있다.

----------------------------------------------------------------------------

 Switch HUB : 각 호스트(MAC ad로 구분) 간 통신에 있어서 각자의 스위치를 갖고,
       원하는 목적지로만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장점 : 한 데이터를 송신할 때 휴지기에 있는 스위치 끼리의 통신은
       막히지 않아 전송률이 높아졌다.
             그러나, 전송률(성능)이 오르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원인은?
             -> 사용 환경은 대부분 C-S 환경이다, 스위치 허브를 사용하더라도,
                서버를 이용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는 하나 뿐이므로 성능은 그대로다.


   + COBOL과 RDBMS의 차이
       성능은 COBOL의 압승
       But COBOL은 데이터와 App이 합쳐져 있다.
         ex> 고객은 1000만명이나, 고객 수는 2억이었던 회사
       RDBMS는 성능은 낮았으나, App과 고객DB가 독립적이었다.
       무결성을 지킬 수 있었으므로, RDBMS가 널리 사용되었다.          
       스위치 각각의 네트워크 속도를 분할하여 사용하여, 걱정이었으나,
       네트워크의 속도 향상 발전보다 CPU의 속도 향상이 더 빨랐기에 문제가 되지 않았다.

----------------------------------------------------------------------------

 Down-Sizing ->
     ex> Switch Hub에서 각 부서에 허브를 따로 달고, 각 부서 별 서버를 두는 방식

--------------------------------------------------------------------------------

 BroadCast - 채널에 존재하는 모든 개체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BroadCast MAC Address - FF:FF:FF:FF:FF:FF

 Bridge 입장에서 모르는 주소이기 때문에, 브릿지는 위와 같은 패킷을 무조건 전송
 무작위로 모두에게 데이터를 나눠줌 (Broadcast)
 누가 받을지도 모르고 어디까지 가는지 모름


 Multicast - 지정한 몇명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Multiple Access 와 Multicast의 차이는?

 Multiple Access는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채널을 균일하게 이용하기 위한 방식.
 Multicast는 특정 몇명에게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

 전자는 어떻게 보내는가, 후자는 누구에게 보내는가의 문제라는 차이가 존재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inux Server - FTP 실습 (2 / 2) : 사용자 제한 ( ftpuser / user_list )

전자서명 개념

3.27 (화) - Network (패킷 통신 - 4가지 지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