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3 (금) Memo
네트워크
App 계층에서는 각자 응용프로그램마다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구분하는 PortNumber를 갖고있다.
ex) sshd = 22
PortNumber는 Server에게 할당.
Client는 1023번 이후의 수를 할당받는다.
프로세스마다 소켓이 다르게 할당.
---------------------------------------------------------------------------------------------------
데이터의 이동 경로 예시
1. Client의 Putty(ssh)가 4444번 포트를 할당받음.
2. 이 프로세스에서 데이터를 TCP(T.L 계층)로 전송
3. TCP에서는 이 데이터의 뒤에 D.P(목적지 포트번호) 와 S.P(송신지 포트번호)를 붙여서
IP 계층으로 보낸다. (세그먼트)
4. IP 계층에서는 위의 세그먼트를 받아 뒤에 D.I(목적지 IP 주소)와 S.I(송신지 IP 주소)를
붙여 D.L으로 전송한다. (데이터그램)
5. D.L에서는 데이터그램을 받아 뒤에 S.M(송신지 MAC Address)과
D.M(목적지 MAC Address)을 붙여 P.L의 물리 규격에 맞는 Ethernet을 통해
목적지 MAC Address에 해당하는 네트워크로 이동시킨다. (프레임) - 헤더 순서 중요!
6. Clinet의 Algorithm의 역순으로 Server의 OSI 각 계층에서는 헤더를 해석한다.
7. Server의 App계층에서는 각 프로세스가 고정된 PortNumber를 사용한다. (ISO에서 규정)
8. 최종적으로 Client의 Data는 Server의 프로세스를 찾아 전송된다.
App 계층에서는 각자 응용프로그램마다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구분하는 PortNumber를 갖고있다.
ex) sshd = 22
PortNumber는 Server에게 할당.
Client는 1023번 이후의 수를 할당받는다.
프로세스마다 소켓이 다르게 할당.
---------------------------------------------------------------------------------------------------
데이터의 이동 경로 예시
1. Client의 Putty(ssh)가 4444번 포트를 할당받음.
2. 이 프로세스에서 데이터를 TCP(T.L 계층)로 전송
3. TCP에서는 이 데이터의 뒤에 D.P(목적지 포트번호) 와 S.P(송신지 포트번호)를 붙여서
IP 계층으로 보낸다. (세그먼트)
4. IP 계층에서는 위의 세그먼트를 받아 뒤에 D.I(목적지 IP 주소)와 S.I(송신지 IP 주소)를
붙여 D.L으로 전송한다. (데이터그램)
5. D.L에서는 데이터그램을 받아 뒤에 S.M(송신지 MAC Address)과
D.M(목적지 MAC Address)을 붙여 P.L의 물리 규격에 맞는 Ethernet을 통해
목적지 MAC Address에 해당하는 네트워크로 이동시킨다. (프레임) - 헤더 순서 중요!
6. Clinet의 Algorithm의 역순으로 Server의 OSI 각 계층에서는 헤더를 해석한다.
7. Server의 App계층에서는 각 프로세스가 고정된 PortNumber를 사용한다. (ISO에서 규정)
8. 최종적으로 Client의 Data는 Server의 프로세스를 찾아 전송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