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3 (금) 네트워크 정리 - Net Layer / Datalink Layer 2

02. 23 (금)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 층 데이터 생성
전송 계층         데이터+목적지 포트넘버+송신자 포트넘버 = 세그먼트
네트워크 층       세그먼트+수신자 IP + 송신자 IP = 데이터그램
데이터링크 층    데이터그램+송신자MAC+수신자MAC = 프레임
물리 계층          프레임을 가지고 전기 신호로 통신

멀티플 엑세스로 유니캐스트를 함

----------------------------------------------------------------------------------------------

브릿지 = 데이터가 반드시 그곳에 있어서 보내주는 역할은 아님

브릿지는 가라 가지말라만 결정하는 역할
즉 보내준다고 해서 거기에 반드시 있다는 보장은 없다.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 : 데이터가 깨지지 않고 가는 것, 순서대로 안전하게 도착하는 것
그러나 언제까지 가는지, 얼마나 보낸다는 보장하지 않음
어떤 것들은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이 필요 없다.
SNMP등은 데이터가 깨지면 안되지만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은 하지 않는다.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은 TCP(전송 계층함. + 신뢰적인 데이터전송을 하지않는다는 것은
TCP가 하는일을 어플리케이션 층에서 다 하게 된다는 것.)

*** TCP =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 UDP >< 비신뢰적인 데이터전송

이더넷에 연결되어있는 것 : 노드
이더넷에서 IP를 안 가질 수 있다.(IPX)
차이점: 노드 중 IP를 가진것 = 호스트
호스트끼리의 연결을 인터넷이라 함
IP를 안 가진 것들의 연결을 이더넷이라 함

호스트가 되기 위해서는 IP, NETMASK,GATEWAY를 설정해야함
IP : 컴퓨터를 구별하는 주소 (식별 O 인증 X)
- 네트워크 ID HOST ID로 구분
NETMASK: IP주소에서 어디까지 네트워크 ID이고 HOST ID인지를 구별 해 주는 역할
ex) IP: 1.1.1.1
    NET:255.255.255.0
둘 다 이진수로 바꿈
이 둘은 AND 연산을 하면 네트워크 주소를 알 수 있다.
같은 부분 까지가 네트워크 주소, 다른 부분이 호스트 주소가 됨
GATEWAY: 네트워크 주소가 다른 외부와 통신할 수 있게 해줌

(어떤 네트워크 그룹에 속한 호스트가 다른 네트워크 그룹에 속한 호스트에게 혹은 호스트 들에게 데이터를 보낼때 본래는 네트워크 주소가 다르기 때문에 보낼수 없으나 게이트웨이는 외부와 연결이 되어 있기 때문에 보낼수 있는데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이 Gateway다)

모든 네트워크 통신은 블라인드 통신.
내가 보낸 메시지가 온전히 도착했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음.

* 네트워크의 첫 주소 : 네트워크 그룹을 의미하는 주소이기에 사용하지 호스트의 주소로
  사용되지 않음.
    ex) 192.168.10.0
* 네트워크의 마지막 주소 : 네트워크 그룹내의 모든 주소로 메시지를 보낼때 사용되는
  주소 (Broadcast Address)
    ex) 192.168.10.255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주소는 다음과 같다.
ex) 192.168.10.1 ~ 192.168.10.254


라우터의 역할은 게이트웨이 주소를 이용하여 외부와 통신시켜주는 것.

만약 네트워크가 구성된지 얼마 지나지 않아서 호스트 정보가 온전치 못하다면,
호스트 데이터를 수집하여 테이블을 구성한다.

IP Source = 본인의 IP / IP Destination = 1.1.1.255 (Broadcast)
MAC Source = 본인의 MAC / MAC Destination = FF:FF:FF:FF:FF:FF (Broadcast)



라우터는 각각 자신의 테이블을 갖고 이 테이블은 게이트웨이 주소를 기반으로 전송되는 패킷을 목적지에 가까운 라우터로 보내는 역할을 돕게된다.

네트워크 안의 라우터들은 기망 안의 모든 라우터가 가진 네트워크망 게이트웨이 값을 공유한다. -> 이 한 그룹을 AS망이라고 한다.

ex) AS망













AS망은 AS망들끼리 다시 게이트웨이 구조로 서로의 네트워크망 게이트웨이 값을 공유한다.

ex)



-------------------------------------------------------------------------------------------------

++ 원서에서의 스탠더드와 가이드라인의 차이
  스탠더드는 무조건 써야하는 것
  가이드라인은 그 방식을 무시하려면 사용하고 싶은 방식이 권고사항과 동등한 기능을 한다는 것을 입증해야한다.

-- 라우터와 게이트웨이의 사용 (원리 이해할 것)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inux Server - FTP 실습 (2 / 2) : 사용자 제한 ( ftpuser / user_list )

전자서명 개념

3.27 (화) - Network (패킷 통신 - 4가지 지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