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0 (화) Network 정리 - OSI 7계층

OSI 7계층

TCP/IP에서는 쉽게 구분하기 위해 5계층 사용

다음과 같다,


Application Layer (어플리케이션 계층)

Transport Layer (전송 계층)

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

Data-Link Layer (데이터-링크 계층)

Physical Layer (물리 계층)


하위 계층인 물리 계층부터 간단히 정리


1. Physical Layer (물리 계층)
  - 케이블의 사이즈 등 물리적인 규격을 나타낸다.

2. Data-Link Layer (데이터-링크 계층)
  - 실제 데이터를 교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계층
  - 실질적으로 송,수신자의 구별이 가능하다.

3. 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
  - IP 프로토콜을 사용
  - Gateway가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도와준다
  - IP Address, Gateway Address, 넷마스크를 통해 외부와 자신의 주소를 정의내리고 통신한다.
  - 데이터가 목적지까지 전송되는 과정을 정의하는 계층이라고 볼 수 있다.
  - 데이터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각 패킷의 순서를 제어하지는 않는다.

4. Transport Layer (전송 계층)
  -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의 신뢰성을 위한 부분을 담당하는 계층.
  - 

 * network edge - transport layer 상위를 구분
   - edge 파트에서는 데이터가 어느 곳으로 이동하는지 관심을 갖는다.
 * network core - network layer 하위를 구분
   - core 파트에서는 데이터의 송신지 목적지는 관심이 없다.

5. Application Layer (어플리케이션 계층)
  - 어떤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가에 관한 계층.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inux Server - FTP 실습 (2 / 2) : 사용자 제한 ( ftpuser / user_list )

전자서명 개념

3.27 (화) - Network (패킷 통신 - 4가지 지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