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2018의 게시물 표시

2. 28 (수) 정리 Linux - vi 에디터 / Net - DL, N Layer 구조

이미지
-Linux- Line Editor : 한 줄만 나오는 일종의 워드프로세서  -> 초기 리눅스에 사용 vi Editor : 문서가 한 눈에 다 들어오는 에디터. 모든 유닉스에 기본 탑재 되어있기에 사용. • vi 실행 # vi 파일명 주의! 새 이름으로 저장하기 쓰지 말 것 -> 숙련도 필요 • vi 모드   - 명령 모드 : 기본 모드, 입력 이외의 편집 작업을 담당 -> h,j,k,l 이 상하좌우 담당   - 입력 모드 : 데이터의 입력 및 수정   - 실행 모드 : 파일 저장, 종료 -> conf 작업이 주되기 때문에 잠깐이라도 미심쩍으면 저장하지 않고 나와야 함. • 모드의 변경   * 명령모드 -> 삽입모드     - i : 커서 위치부터 입력 (윈도우)     - a : 커서 다음 칸에 입력     - o : 커서 아래 새로운 라인 삽입하고 입력   * 명령모드 -> 실행모드     - ;   * 삽입, 실행모드 -> 명령모드     - ESC ------------------------------------------------------------------ 명령모드 • 이동 - h, j, k, l (왼쪽,아래,위,오른쪽) - gg, G (문서 맨 처음이나 아래로) - n G (n 라인으로 이동) - ^f, ^b, ^d, ^u (화면단위 이동) + (^는 ctrl key) • 삭제 - x (글자 삭제) <> delete  // 딜리트 키는 글이 없으면 라인을 땡기지만 이 명령은 글자만 삭제한다 - dd (라인 삭제) - dw (단어삭제) - D (커서뒷부분 삭제) -----------------------------------...

2. 27 (화) 정리 Linux - 기본 명령어 4 / Net - Net, Trans Layer

2. 27 (화) - Linux - * more(less)  화면 출력을 화면 단위로 제어  출력되는 내용이 많아서 화면을 넘어가는 경우 사용한다  # more 파일 * |  앞쪽 명령의 결과를 뒤쪽 명령의 입력 값으로 사용하겠다는 의미 ex) # ls -al | more [root@su1-localhost ~]# more install.log Installing libgcc-4.1.2-43.SUL2.x86_64 warning: libgcc-4.1.2-43.SUL2: Header V3 DSA signature: NOKEY, key ID 922608d6 Installing setup-2.5.58-6.SUL2.noarch Installing filesystem-2.4.0-2.SUL2.x86_64 Installing basesystem-8.0-5.1.1.SUL2.noarch Installing kernel-headers-2.6.18-398.el5.x86_64 Installing tzdata-2010l-1.SUL2.x86_64 Installing glibc-common-2.5-34.SUL2.1.x86_64 Installing glibc-2.5-34.SUL2.1.x86_64 Installing glibc-2.5-34.SUL2.1.i686 Installing zlib-1.2.3-3.x86_64 Installing chkconfig-1.3.30.1-2.x86_64 Installing glib2-2.12.3-4.SUL2.1.x86_64 Installing 3:mktemp-1.5-23.2.2.x86_64 Installing popt-1.10.2-49.SUL2.x86_64 Installing audit-libs-1.7.7-6.SUL2.3.SUL2.x86_64 Installing libstdc++-4.1.2-43.SUL2.x86_64 Installing libcap-1.10-26.x86_...

2. 26 (월) 정리 - Linux 기본 명령어 3 / Network ip주소

--------------------------------------------------------------------------------------------------- Linux - cp :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복사 #cp [옵션] 원본 복사대상명 옵션 "-arpf 묶어서 사용" -a : 원본 속성 유지 -r : 하위 디렉토리/파일 모두 복사 -p : 파일의 소유와 권한을 보존한 채 복사 -f : 강제 실행 -u : 새 파일 덮어쓰기 금지 [root@su1-localhost test]# echo abc > abc.txt [root@su1-localhost test]# [root@su1-localhost test]# cp -arpf abc.txt copyabc.txt [root@su1-localhost test]# ls abc.txt  copyabc.txt [root@su1-localhost test]# cat copyabc.txt abc - mv :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이동 #mv [옵션] 원본 이동파일명 옵션 -f : 강제 실행 -b : 파일이 덮어씌워질 경우 백업파일을 생성 -d : 디렉토리 삭제 -i : 삭제 전 일일이 삭제여부 확인 -v : 삭제 파일 만들기 ++ 파일의 이름을 바꿀때도 사용 [root@su1-localhost test]# mkdir testintest [root@su1-localhost test]# ls abc.txt   copyabc.txt   testintest [root@su1-localhost test]# mv abc.txt ./testintest/ [root@su1-localhost test]# ls copyabc.txt    testintest [root@su1-localhost test]# ls ./testintest/ abc.txt [root@su1-localhost test]# mv copya...

2. 23 (금) 네트워크 정리 - Net Layer / Datalink Layer 2

이미지
02. 23 (금)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 층 데이터 생성 전송 계층         데이터+목적지 포트넘버+송신자 포트넘버 = 세그먼트 네트워크 층       세그먼트+수신자 IP + 송신자 IP = 데이터그램 데이터링크 층    데이터그램+송신자MAC+수신자MAC = 프레임 물리 계층          프레임을 가지고 전기 신호로 통신 멀티플 엑세스로 유니캐스트를 함 ---------------------------------------------------------------------------------------------- 브릿지 = 데이터가 반드시 그곳에 있어서 보내주는 역할은 아님 브릿지는 가라 가지말라만 결정하는 역할 즉 보내준다고 해서 거기에 반드시 있다는 보장은 없다.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 : 데이터가 깨지지 않고 가는 것, 순서대로 안전하게 도착하는 것 그러나 언제까지 가는지, 얼마나 보낸다는 보장하지 않음 어떤 것들은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이 필요 없다. SNMP등은 데이터가 깨지면 안되지만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은 하지 않는다.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은 TCP(전송 계층함. + 신뢰적인 데이터전송을 하지않는다는 것은 TCP가 하는일을 어플리케이션 층에서 다 하게 된다는 것.) *** TCP =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 UDP >< 비신뢰적인 데이터전송 이더넷에 연결되어있는 것 : 노드 이더넷에서 IP를 안 가질 수 있다.(IPX) 차이점: 노드 중 IP를 가진것 = 호스트 호스트끼리의 연결을 인터넷이라 함 IP를 안 가진 것들의 연결을 이더넷이라 함 호스트가 되기 위해서는 IP, NETMASK,GATEWAY를 설정해야함 IP : 컴퓨터를 구별하는 주소 (식별 O 인증 X) - 네트워크 ID HOST ID로 구분 NETMASK: IP주소...

자료 첨부

2. 23 (금) Memo

네트워크 App 계층에서는 각자 응용프로그램마다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구분하는 PortNumber를 갖고있다. ex) sshd = 22 PortNumber는 Server에게 할당. Client는 1023번 이후의 수를 할당받는다. 프로세스마다 소켓이 다르게 할당. --------------------------------------------------------------------------------------------------- 데이터의 이동 경로 예시 1. Client의 Putty(ssh)가 4444번 포트를 할당받음. 2. 이 프로세스에서 데이터를 TCP(T.L 계층)로 전송 3. TCP에서는 이 데이터의 뒤에 D.P(목적지 포트번호) 와 S.P(송신지 포트번호)를 붙여서    IP 계층으로 보낸다. (세그먼트) 4. IP 계층에서는 위의 세그먼트를 받아 뒤에 D.I(목적지 IP 주소)와 S.I(송신지 IP 주소)를    붙여 D.L으로 전송한다. (데이터그램) 5. D.L에서는 데이터그램을 받아 뒤에 S.M(송신지 MAC Address)과    D.M(목적지 MAC Address)을 붙여 P.L의 물리 규격에 맞는 Ethernet을 통해    목적지 MAC Address에 해당하는 네트워크로 이동시킨다. (프레임) - 헤더 순서 중요! 6. Clinet의 Algorithm의 역순으로 Server의 OSI 각 계층에서는 헤더를 해석한다. 7. Server의 App계층에서는 각 프로세스가 고정된 PortNumber를 사용한다. (ISO에서 규정) 8. 최종적으로 Client의 Data는 Server의 프로세스를 찾아 전송된다.

공부할 때 참고할 주소 모음 (상시 업데이트 中)

- Network - // Multiple Access (FDMA / TDMA / CDMA) 개념   http://usn-pioneer.tistory.com/8 - Linux - // 리눅스 컴파일 참고   http://ibabo.tistory.com/87 // 리눅스 vi 에디터 .swp 파일 생성시 복구 방법   http://yadw.tistory.com/72 // 리눅스 퍼미션 SUID SGID STID 설명 http://curfox.tistory.com/entry/%EB%A6%AC%EB%88%85%EC%8A%A4%ED%99%9C%EC%9A%A9-%EB%B3%B4%EC%95%88SUID-SGID-STID - Apache - // FTP 명령어 예제 참고 http://linuxholic.tistory.com/entry/FTP-%EB%AA%85%EB%A0%B9%EC%96%B4-%EC%82%AC%EC%9A%A9%EB%B2%95

2. 22 (목) Memo

Multiplexing과 Multiple Access 개념 정리 Multiplexing: 서로 다른 데이터 스트림이나 신호들이 같은 통신 채널이나 전달 매체를 공유한다. Multiple Access: 서로 다른 사용자(혹은 기기)들이 같은 통신 채널이나 전달 매체를 공유한다. Multiplexing과 Multiple Access의 공통점 하나의 통신 채널이나 전달 매체를 공유한다. Multiplexing과 Multiple Access의 차이점 1. Multiplexing은 주로 end-point가 두 개인 단대단 통신 환경에서 사용하지만 , Multiple Access는 주로  여러 개의 end-point가 있는 다중 사용자 통신 환경 에서 사용한다. 2. 유선망에서는 multiplexing이란 용어가 많이 쓰이고, 무선망에서는 multiple access란 용어가 많이 쓰인다. 3. Multiplexing은 물리 계층에서 제어하는 경우가 많고, Multiple Access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제어하는 경우가 많다. 출처: http://snoopy0505.tistory.com/62 [주책이의 작은 공간]

2. 22 (목) Network 정리 - Datalink Layer

* 참고 App -> TCP 의 데이터 : RDT send TCP -> IP 의 데이터 : UDT send TCP -> APP의 데이터 : RDT_rev IP -> TCP 의 데이터 : delivery 숙제. 데이터 전송 구조 외우기 ---------------------------------------------------------------------------- 이더넷 네트워크의 최대 size = 이론상 1500대 / 실제 약 750대까지 연결 가능 10 BASE 5 : 10mbps 를 500m. AUI로 연결 10 BASE 2 : T 케이블을 이용 (5M 간격)하여 연결. 미연결 부는 터미네이터를      이용하여 막아야 네트워크가 죽지 않음.  OR 허브를 사용 ---------------------------------------------------------------------------- Topology는 데이터의 흐름을 의미, 케이블의 연결 구조와는 관련이 없다. ---------------------------------------------------------------------------- 허브란? 지금은 스위칭 허브를 의미. / 일반 허브는 시중에 없다.  Gbps 8 스위칭 허브가 10만원대로 하락한 지금 일반 허브는 사장됨. ┝------ ㅇ ------- ㅇ ------- ㅇ------- ┪            ㅣ          ㅣ          ㅣ            A            B          ...

2. 22 (목) Linux 정리 - 기본 명령어 2

리눅스는 정상 부팅 되는데, Putty 접속이 안될 시 테스트 할 것. Lan card 정보 확인할 때 1. 윈도우는 ipconfig / 유닉스,리눅스는 ifconfig 2. 윈도우에서 ping 명령어로 리눅스 os의 ip를 입력 3. 리눅스 os에서 setup 명령어 입력 4. 네트워크 세팅 5. 디바이스 6. 고정 ip / 넷마스크 /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만 수정가능  * 집에서는 DHCP 사용 -> 자동설정 7. 저장 8. DNS configuration 9. DNS 주소 입력 후 저장 후 종료 10. (1)  * service network [start | stop | restart] - 네트워크 시작 | 정지 | 재시작 테스팅 과정을 계획하는 습관 들이기 ----------------------------------------------------------------------------  * 리다이렉트 복습   > : 표준 출력 지시자    - 명령어 > 파일 : 명령 결과를 파일로 저장    - 기본 출력(디폴트) 디바이스(파일)은 CRT(모니터).   >> : 추가 표준 출력 지시자    - 명령어 >> 파일 : 명령 결과를 파일에 추가   = 오른쪽으로 데이터 이동   < : 표준 입력 지시자    - 명령어 < 파일 : 파일의 내용을 명령의 입력 값으로 사용    - 기본 입력 디바이스는 키보드   = 왼쪽으로 데이터 이동 ----------------------------------------------------------------------------  * cat   - 표준 입출력 지시자    # cat [옵션] [출력 대...

2. 21 (수) Network 정리 - 패킷 생성 과정, net Topology

이미지
* 손 필기로 인한 사진 첨부 대체   * OSI 5계층과 데이터 전송과정 및   계층별 데이터 구조  * Data-Link Layer의 프로토콜 설명 및    Network Topology 설명 * (이어서) Network Topology 와   CSMA/CD 원리 및 구조 설명 * 버스형 토폴로지 네트워크에서 호스트 증가에 따른 네트워크 전송률 예상도 그려보기

2. 21 (수) Linux 정리 - 기본 명령어

---------------------------------------------------------------------------- Putty login as: root → 루트계정 로그인 시도 root@192.168.10.240's password: → 현재 서버 컴퓨터의 id 출력 및 패스워드 입력 창 Last login: Tue Feb 20 13:51:50 2018 from 192.168.10.236 → 마지막 로그인 정보 [root@centos ~]# → 프롬프트라고 한다. ---------------------------------------------------------------------------- 기본 틀 # command (-단일문자옵션) (--다중문자옵션) * 실습 환경  OS : SULinux OS hostname : su1-localhost 1) 파일 정보 출력  - ls -a → .으로 시작하는 파일은 히든파일 / 히든파일을 포함하여 출력 [root@su1-localhost ~]# ls -a .              .bash_logout   .cshrc    anaconda-ks.cfg  install.log ..             .bash_profile  .tcshrc   bin              install.log.syslog .bash_history  .bashrc        .viminfo  conf  - ls -l  → 파일에 대한 여러 정보를 함께 출력 [root@su1-localhost ~]...

2. 20 (화) Network 정리 - OSI 7계층

OSI 7계층 TCP/IP에서는 쉽게 구분하기 위해 5계층 사용 다음과 같다, Application Layer (어플리케이션 계층) Transport Layer (전송 계층) 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 Data-Link Layer (데이터-링크 계층) Physical Layer (물리 계층) 하위 계층인 물리 계층부터 간단히 정리 1. Physical Layer (물리 계층)   - 케이블의 사이즈 등 물리적인 규격을 나타낸다. 2. Data-Link Layer (데이터-링크 계층)   - 실제 데이터를 교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계층   - 실질적으로 송,수신자의 구별이 가능하다. 3. 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   - IP 프로토콜을 사용   - Gateway가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도와준다   - IP Address, Gateway Address, 넷마스크를 통해 외부와 자신의 주소를 정의내리고 통신한다.   - 데이터가 목적지까지 전송되는 과정을 정의하는 계층이라고 볼 수 있다.   - 데이터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각 패킷의 순서를 제어하지는 않는다. 4. Transport Layer (전송 계층)   -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의 신뢰성을 위한 부분을 담당하는 계층.   -   * network edge - transport layer 상위를 구분    - edge 파트에서는 데이터가 어느 곳으로 이동하는지 관심을 갖는다.  * network core - network layer 하위를 구분    - core 파트에서는 데이터의 송신지 목적지는 관심이 없다. 5. Application Layer (어플리케이션 계층)   - 어떤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가에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