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8 (수) 정리 Linux - vi 에디터 / Net - DL, N Layer 구조

-Linux- Line Editor : 한 줄만 나오는 일종의 워드프로세서 -> 초기 리눅스에 사용 vi Editor : 문서가 한 눈에 다 들어오는 에디터. 모든 유닉스에 기본 탑재 되어있기에 사용. • vi 실행 # vi 파일명 주의! 새 이름으로 저장하기 쓰지 말 것 -> 숙련도 필요 • vi 모드 - 명령 모드 : 기본 모드, 입력 이외의 편집 작업을 담당 -> h,j,k,l 이 상하좌우 담당 - 입력 모드 : 데이터의 입력 및 수정 - 실행 모드 : 파일 저장, 종료 -> conf 작업이 주되기 때문에 잠깐이라도 미심쩍으면 저장하지 않고 나와야 함. • 모드의 변경 * 명령모드 -> 삽입모드 - i : 커서 위치부터 입력 (윈도우) - a : 커서 다음 칸에 입력 - o : 커서 아래 새로운 라인 삽입하고 입력 * 명령모드 -> 실행모드 - ; * 삽입, 실행모드 -> 명령모드 - ESC ------------------------------------------------------------------ 명령모드 • 이동 - h, j, k, l (왼쪽,아래,위,오른쪽) - gg, G (문서 맨 처음이나 아래로) - n G (n 라인으로 이동) - ^f, ^b, ^d, ^u (화면단위 이동) + (^는 ctrl key) • 삭제 - x (글자 삭제) <> delete // 딜리트 키는 글이 없으면 라인을 땡기지만 이 명령은 글자만 삭제한다 - dd (라인 삭제) - dw (단어삭제) - D (커서뒷부분 삭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