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 (화) 수업 - Network(패킷 전송 방식 / 네트워크 접속 & 물리매체)

Network


◎ 과도한 혼잡의 발생 시, 패킷의 지연이나 손실이 발생

◎ Store and Forward 방식  : 지연 발생의 원인

◎ 패킷 전송 방식
 - Datagram network : 가는 경로가 정해져 있지 않음. 라우터/스위치로 가야 알 수 있음.
    ▷ 각 hop에 갈 때 마다 경로를 결정
    ▷ 세션 동안 경로가 변경될 수 있다.
    ▷ 데이터의 순서를 보장하지 못한다. 어디로 가는지 모름
 - Virtual circuit network
    ▷ local network에서 부분적으로 사용
    ▷ 경로를 미리 설정해 둠
    ▷ 거의 사용되지 않는 방식

◎ 네트워크의 분류

 

       ---------------------   구   분  ----------------------------

네트워크 접속과 물리적 매체

◎ 가정 접속 (국내는 전부 기관 접속) - point to point
  ▷ Dialup modem (전화선)
  ▷ ADSL (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
     - 1M 이상의 upload
     - 8M 이상의 download

  ▷ 케이블 모뎀
     - HFC : 동축케이블 이용(Hybrid fiber coax)
     - 주로 해외에서 서비스 (국내와는 별 상관이 없다)

◎ 기관 접속 - local area network
  ▷ Ethernet

◎ 무선 접속
  ▷ 무선 랜
  ▷ Wiber-area wireless access

◎ Home Network
  ▷ ADSL or cable modem
  ▷ Router / firewall / NAT
  ▷ Ethernet
  ▷ Wireless access point

◎ 물리매체
  ▷ 유도 매체 : 견고한 매체를 따라서 파형을 유도하는 것
    - 광케이블
      → 가격이 비싸다 (연결 시 제약이 많기 때문에)
    - 동축케이블
      → Baseband : 단일 채널 / 10base2 ethernet
      → Broadband : 여러 채널 / HFC
    - UTP (Unshield Twisted Pair)
  ▷ 비유도 매체 : 대기와 야외공간으로 파형을 전파하는 것
    - 무선 LAN
    - 위성 라디오 채널
      → Radio link types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inux Server - FTP 실습 (2 / 2) : 사용자 제한 ( ftpuser / user_list )

전자서명 개념

3.27 (화) - Network (패킷 통신 - 4가지 지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