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Server - DNS 실습 (6 / 6) : root - NameServer 만들기

<루트 네임 서버 만들기!>


◎ Setting

□ IP Address

  - Root DNS Server : (~.230)
  - TLD Server : (~.227)
  - Cache Server (~.228)
  - Client (~.229)

□ 초기화

  ▷ 시간 동기화 (rc.local 파일 수정 - Linux 기본 명령어 게시글 참조)
  ▷ NetworkManager 패키지 삭제
  ▷ bind-chroot 패키지 삭제
  ▷ ntsysv → iptables 서비스 비활성화
  ▷ setup → 방화벽설정 → 비활성화 ( or #setenforce 0 )
  ▷ 모든 초기화가 끝난 후에 /var/named 디렉토리 설정을 변경
     권한을 - 775 / 소유자 - named named

◎ 실습 순서

  ① Root DNS Server (~.230)의 구축
     1) named.conf 파일의 생성
        [root@SULinux-localhost ~]# vi /etc/named.conf
        
        → root 서버는 본인이 root 이므로 type이 hint가 아닌 master가 되어야 합니다.
     2) resolv.conf 파일의 수정
        [root@SULinux-localhost ~]# vi /etc/resolv.conf
        
        → 혹시 공용도메인으로 설정이 되었다면, root 서버의 ip 주소로 설정해줍니다.

     3) root.zone 파일의 생성
        [root@SULinux-localhost ~]# vi /var/named/root.zone
        

        → root DNS Server의 ip주소에 맞춰 설정 후 하위 도메인으로
           ast08(227)을 추가합니다.

     4) named 서비스 재시작
        [root@SULinux-localhost ~]# service named restart
        named를 정지 중:                                           [  OK  ]
        named를 시작 중:                                           [  OK  ]

  ② TLD Server (~.227)의 구축
     1) named.conf 파일의 생성
        [root@DNS-Server ~]# vi /etc/named.conf
        
        → root DNS Server의 하위 DNS Server ast08을 생성합니다.

     2) named.ca 파일의 수정
        [root@DNS-Server ~]# vi /var/named/named.ca
        

     3) ast08.zone 파일의 생성
        [root@DNS-Server ~]# vi /var/named/ast08.zone
        

     4) resolv.conf 파일의 수정
        [root@DNS-Server ~]# vi /etc/resolv.conf
        

     5) named 서비스 재시작
        [root@DNS-Server ~]# service named restart
        named를 정지 중:                                           [  OK  ]
        named를 시작 중:                                           [  OK  ]

  ③ Cache Server (~.228)의 구축
     1) resolv.conf 파일의 수정
        [root@Cache-DNS-Server ~]# vi /etc/resolv.conf
        

     2) named.conf 파일의 생성
        [root@Cache-DNS-Server ~]# vi /etc/named.conf
        
        → Cache Server의 named.conf 파일엔 named.ca 하나만 존재하면 된다.

     3) named.ca 파일의 수정
        [root@Cache-DNS-Server ~]# vi /var/named/named.ca
        

     4) named 서비스 재시작
        [root@Cache-DNS-Server ~]# service named restart
        named를 정지 중:                                           [  OK  ]
        named를 시작 중:                                           [  OK  ]

  ④ Client를 통한 nameserver의 host ip 주소를 얻어오기
     ※ Client(host 도메인 이름으로 ip 주소를 요청하는 역할)은 Local DNS 주소만
       변경해주면 됩니다.
       → 이번 실습의 경우에는 Cache Server가 그 역할을 대신하겠죠.
     1) named.conf 파일의 수정
        [root@SULinux2-localhost ~]# vi /etc/resolv.conf
        

     2) named 서비스 재시작
        [root@SULinux2-localhost ~]# service named restart
           named를 정지 중:                                           [  OK  ]
           named를 시작 중:                                           [  OK  ]

     3) TLD Server host의 ip 주소를 얻어오기!

        

  ⑤ Windows 환경에서 nameserver의 host ip 주소를 얻어오기

     1) 네트워크 옵션 - 이더넷 설정 - 속성 Tab - Ipv4 프로토콜 설정

     2) DNS 주소를 Cache Server의 IP 주소로 설정

     3) Testing
        C:\Users\user1>nslookup www.ast08
        서버:    UnKnown
        Address:  192.168.10.228

        권한 없는 응답:
        이름:    ns.ast08
        Address:  192.168.10.227
        Aliases:  www.ast08

        C:\Users\user1>nslookup ns.
        서버:    UnKnown
        Address:  192.168.10.228

        권한 없는 응답:
        이름:    ns
        Address:  192.168.10.230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inux Server - FTP 실습 (2 / 2) : 사용자 제한 ( ftpuser / user_list )

전자서명 개념

3.27 (화) - Network (패킷 통신 - 4가지 지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