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Server 실습 - smb.conf (share)
◎ smb.conf - share
1. 공유 디렉토리 (Public)를 만들고 writable 권한을 갖고 놀아봅시다
- /etc/samba/smb.conf
- 사진 첨부 -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jfQyFyxsF9sKK5xEscO5oGJFuTaABK4vELPW_nyf8WJM38lX_DIT7wsVNwrx_EE0vo-PLynKsAAS3RNfYhOicAe7rNjZYqEDTsmVx7g5ys9Z60WCIg3FZaPSUg2ZHIrfEYDpoukLcomEI/s1600/smb+conf+%25ED%258C%258C%25EC%259D%25BC+public.PNG)
# A publicly accessible directory, but read only, except for people in
# the "staff" group
[public]
comment = Public Stuff
path = /home/pub
public = yes
writable = no
write list = +web webmaster → 이 부분이 관건
▷ 주석은 삭제하였다.
▷ writable(쓰기 권한)이 no로 설정되어 있더라도, write list에 설정된 그룹/유저는 쓰기가 가능하다.
▷ 테스트 해보자
- 위 사진처럼 write list에는 web그룹의 webmaster 계정만을 허용한다.
- 경로 path에 속하는 디렉토리는 미리 생성한다.
- 사전에 공유폴더 public 폴더에 비어있는 .txt 파일을 만들어 놓는다.
1. write list에 없는 계정으로 접속 후 텍스트 파일 수정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iwJeVjpiWgPXyE1tEzK3pYUl4cO43yAUAeXn-hjf3Dde7ehYIAAJFqmxBTV9TnIEt7283TYTBG7QerhJIX7eycZDpPiL7iO4FFi9B0bCJ9Mz7ZapDpiuu3XQdnYSgi5VDxwIRm4Wl4FL4/s1600/1.PNG)
→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g129P_9Jhx1qA1pdYFv9wiAPZDHC-kpRPTPOPUdCrdNyUECURvVzAQ7QTamk7_X0GcKOdBC1okgUflAla3d4MKzenfIfWdXTIPIfcY7pl6aR39vJ2Yk-rAMhFf3DC6V-R4oJPx5bQ8qXQ/s1600/2.png)
→ \\DJ\public 에 접속해보자!
→ (설명) \\192.168.10.175\public과 같은 경로이다. (이전 실습 참고)
⇒ 이렇게 진행하면 이제 자격 증명 (로그인) 창이 나오면서 인증을 하게된다.
→ write list에 있었던 web 그룹의 webmaster 계정으로 접속해보자.
→ 접속한 결과
→ 내용을 수정하고 저장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gW-gVhrqnqGJotKCX1zL1OQcjC7U-KWDcbu50Yvqagr-M5DeUVeCJixx4LZNf2aTrTppgnYVfTPQK92M52VA-fa6iJzlTpCTPEWnVTLCxJN2u7ZoWGU7iDfznEdJXIwzMFTiNd1rSkONE/s1600/4.png)
→ 문제없이 저장이 된다.
2. write list에 없는 계정으로 접속 후 텍스트 파일 수정
→ write list에 없었던 samba 그룹의 usr1 계정으로 접속해보자.
→ 이후 텍스트파일을 수정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hFcbko27K5aXqe8-0WjECu5JDgTUjFpvATbVWmBdU2ShL5APgPuhgp649xm04Gubd3icEEzm6BzooU4RFVGZzhAl4tsq5MkE6R1ntLP87qUk_4_fOGQ2eqdACDEvgODDeirIwewKwM0rI/s1600/5.png)
→ webmaster로 저장을 시도했을때는 뜨지 않았던 다른이름으로 저장 창이 팝업된다.
→ 저장을 눌러보면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gSIYS6EC7Xb0S6hYjjlAdh-Z3ftTtfTDNg3r4rvUkw_pqkDwFymJN5uGI1UYTrvdhsgQHdJeCZhq9Wuzhk4mBrQahPs68_3tNgE1zvo3uWoCEXHmLYC_MsI1YGhCFPjL-YQNMpQACRibE/s1600/6.png)
→ 권한이 거부되는 모습을 확인
2. 유저계정을 둘 생성하여 두 계정만이 사용할 수 있는 공유폴더를 생성한 후 Test
- smb.conf 파일내용
- 캡쳐 -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iPA3BlklfiCl9-sSDht_5rL08zqKuekCboffFS2uY2SJkncSKfJ9d86E7_oyb0z11tLPy2uFb9DAjWqUQblScy8Sj07gOqy9zdwOSgFvZwKvnr4V5HPTISGVYeWgt4WRIkJdL6RPlDO0c/s400/7.PNG)
[project]
comment = project
valid users = usr1 usr2
path = /home/pro1
public = no
browseable = yes
writable = yes
- valid users 에 속한 유저계정만이 사용할 수 있는 공유 디렉토리이다.
- 경로에 속한 디렉토리를 미리 생성한다.
- public 옵션은 no
- 열람과 쓰기 권한은 yes로 설정
▷ valid users의 접속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g1kiMsdVk6u_13QJfHbzlrBWNry0Hxe2z2EOeq_ph71_LoRtIRj8McWSvdBTki4AElZqZ3zkfPukI5rCJAFA0IhQmI0D5T6wDoc9a1T_t_Jc4XCuDaT8rVPusWlTALEq_FHFzvdVabxHc/s1600/8.png)
→ valid users에 속한 계정으로 접속해보자.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iqcc7SfUEhT0tbX3czXn5zbQaSZGmbpMjNbMNdVg87AksziVLbSgxtsi_0diIRCDstFON0OJYZzjZPPd2QwiL_kpeNfV1xjDZeNta5rWfcrj_PwutKUQqqtOs8xNwTYBYb_WwXyxVI9Ow/s1600/9.png)
→ 각 계정으로 .txt 파일을 만들어보자.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hnup1VQgjETjGVFqS7A0msk3XNHbBDYhuaO2xzBjlPs60TqJ09KlWXUgEa95mOxnh5f95E7AXZEftjGvzStOThcg51S8FfkmJCCn2foYlnfg3RsN2bObs6s6mBqMjJNoxZgMZY4pdPWL4/s1600/10.png)
→ 결과 : 생성과 열람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
▷ valid users가 아닌 유저의 접속
→ webmaster 계정으로 접속해보자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g24vULJFR6Fwhoq9QZhWbFBxY_q78-v6HzCbzVJQkNFR2xKi3vDycstv5q0TfLZl8XN0WVTdOuItCPdB8MkVQ0nT1xhbhLHBtloi3coWKe7KfcC2aCxuzQOQ9qCeIxf23I9hXZ2zwMexg/s1600/11.png)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i2smqrW6SgD8HPWBBGZ00eZOgXGwSoC4TKpu5JV2Ss_1IJUBJ7MU6frTAHeK80MmQIJ0e3pCwaMoa0a0-zcZQzVUZ9pJIWhA6Ald0rmBdny2dpMV6hkS2KQpauc54xIed42C4WLBAks2I/s1600/12.png)
→ 결과 : valid user가 아니라면 액세스가 거부된다.
1. 공유 디렉토리 (Public)를 만들고 writable 권한을 갖고 놀아봅시다
- /etc/samba/smb.conf
- 사진 첨부 -
# A publicly accessible directory, but read only, except for people in
# the "staff" group
[public]
comment = Public Stuff
path = /home/pub
public = yes
writable = no
write list = +web webmaster → 이 부분이 관건
▷ 주석은 삭제하였다.
▷ writable(쓰기 권한)이 no로 설정되어 있더라도, write list에 설정된 그룹/유저는 쓰기가 가능하다.
▷ 테스트 해보자
- 위 사진처럼 write list에는 web그룹의 webmaster 계정만을 허용한다.
- 경로 path에 속하는 디렉토리는 미리 생성한다.
- 사전에 공유폴더 public 폴더에 비어있는 .txt 파일을 만들어 놓는다.
1. write list에 없는 계정으로 접속 후 텍스트 파일 수정
→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g129P_9Jhx1qA1pdYFv9wiAPZDHC-kpRPTPOPUdCrdNyUECURvVzAQ7QTamk7_X0GcKOdBC1okgUflAla3d4MKzenfIfWdXTIPIfcY7pl6aR39vJ2Yk-rAMhFf3DC6V-R4oJPx5bQ8qXQ/s1600/2.png)
→ \\DJ\public 에 접속해보자!
→ (설명) \\192.168.10.175\public과 같은 경로이다. (이전 실습 참고)
⇒ 이렇게 진행하면 이제 자격 증명 (로그인) 창이 나오면서 인증을 하게된다.
→ write list에 있었던 web 그룹의 webmaster 계정으로 접속해보자.
→ 접속한 결과
→ 내용을 수정하고 저장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gW-gVhrqnqGJotKCX1zL1OQcjC7U-KWDcbu50Yvqagr-M5DeUVeCJixx4LZNf2aTrTppgnYVfTPQK92M52VA-fa6iJzlTpCTPEWnVTLCxJN2u7ZoWGU7iDfznEdJXIwzMFTiNd1rSkONE/s1600/4.png)
→ 문제없이 저장이 된다.
2. write list에 없는 계정으로 접속 후 텍스트 파일 수정
→ write list에 없었던 samba 그룹의 usr1 계정으로 접속해보자.
→ 이후 텍스트파일을 수정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hFcbko27K5aXqe8-0WjECu5JDgTUjFpvATbVWmBdU2ShL5APgPuhgp649xm04Gubd3icEEzm6BzooU4RFVGZzhAl4tsq5MkE6R1ntLP87qUk_4_fOGQ2eqdACDEvgODDeirIwewKwM0rI/s1600/5.png)
→ webmaster로 저장을 시도했을때는 뜨지 않았던 다른이름으로 저장 창이 팝업된다.
→ 저장을 눌러보면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gSIYS6EC7Xb0S6hYjjlAdh-Z3ftTtfTDNg3r4rvUkw_pqkDwFymJN5uGI1UYTrvdhsgQHdJeCZhq9Wuzhk4mBrQahPs68_3tNgE1zvo3uWoCEXHmLYC_MsI1YGhCFPjL-YQNMpQACRibE/s1600/6.png)
→ 권한이 거부되는 모습을 확인
2. 유저계정을 둘 생성하여 두 계정만이 사용할 수 있는 공유폴더를 생성한 후 Test
- smb.conf 파일내용
- 캡쳐 -
[project]
comment = project
valid users = usr1 usr2
path = /home/pro1
public = no
browseable = yes
writable = yes
- 경로에 속한 디렉토리를 미리 생성한다.
- public 옵션은 no
- 열람과 쓰기 권한은 yes로 설정
▷ valid users의 접속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g1kiMsdVk6u_13QJfHbzlrBWNry0Hxe2z2EOeq_ph71_LoRtIRj8McWSvdBTki4AElZqZ3zkfPukI5rCJAFA0IhQmI0D5T6wDoc9a1T_t_Jc4XCuDaT8rVPusWlTALEq_FHFzvdVabxHc/s1600/8.png)
→ valid users에 속한 계정으로 접속해보자.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iqcc7SfUEhT0tbX3czXn5zbQaSZGmbpMjNbMNdVg87AksziVLbSgxtsi_0diIRCDstFON0OJYZzjZPPd2QwiL_kpeNfV1xjDZeNta5rWfcrj_PwutKUQqqtOs8xNwTYBYb_WwXyxVI9Ow/s1600/9.png)
→ 각 계정으로 .txt 파일을 만들어보자.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hnup1VQgjETjGVFqS7A0msk3XNHbBDYhuaO2xzBjlPs60TqJ09KlWXUgEa95mOxnh5f95E7AXZEftjGvzStOThcg51S8FfkmJCCn2foYlnfg3RsN2bObs6s6mBqMjJNoxZgMZY4pdPWL4/s1600/10.png)
→ 결과 : 생성과 열람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
▷ valid users가 아닌 유저의 접속
→ webmaster 계정으로 접속해보자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g24vULJFR6Fwhoq9QZhWbFBxY_q78-v6HzCbzVJQkNFR2xKi3vDycstv5q0TfLZl8XN0WVTdOuItCPdB8MkVQ0nT1xhbhLHBtloi3coWKe7KfcC2aCxuzQOQ9qCeIxf23I9hXZ2zwMexg/s1600/11.png)
![](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i2smqrW6SgD8HPWBBGZ00eZOgXGwSoC4TKpu5JV2Ss_1IJUBJ7MU6frTAHeK80MmQIJ0e3pCwaMoa0a0-zcZQzVUZ9pJIWhA6Ald0rmBdny2dpMV6hkS2KQpauc54xIed42C4WLBAks2I/s1600/12.png)
→ 결과 : valid user가 아니라면 액세스가 거부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