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칭키 암호 / 공개키 암호 생각나는대로 정리

대칭키

- 통신 상호 간 하나의 동일한 키(대칭키)를 이용해 암호화 및 복호화
- Feistel 암호 알고리즘을 근간으로 다양한 알고리즘이 파생

장점 :
단순 환치/치환으로 알고리즘 수행이 빠름
다양한 알고리즘이 파생

단점 :
키의 분배와 관리가 어려움
키의 공유가 힘듦 / 사용자가 n일때 필요한 키의 개수 n(n-1)/2 개
책임 추적성(근원지 증명)이 없어 디지털서명이 불가능

공개키

- 각 사용자는 자신의 공개키와 개인키, 2개의 키를 생성
- 공개키는 네트워크에 공유하고, 개인키는 본인만이 보유
- 소인수분해 / 이산대수 문제를 사용

- 사용 : 암/복호화, 디지털 서명, 키 교환

- 장/단점
장점 :
근원지 증명이 가능
키의 관리와 분배가 용이
키의 관리 측면 → 사용자를 n이라 했을 때, 키의 개수가 불과 2n개만 생성
키의 분배 측면 → 키 교환의 기밀성 보장 - 키 공유가 필요 없음

단점 :
알고리즘 수행이 느림

- 암호화 : 공개키 사용
- 복호화 : 개인키 사용

- 서명 : 개인키를 사용해 암호화
- 인증 : 공개키를 사용해 복호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inux Server - FTP 실습 (2 / 2) : 사용자 제한 ( ftpuser / user_list )

전자서명 개념

3.27 (화) - Network (패킷 통신 - 4가지 지연)